본인이 매우 유명한 셀럽이나 인플루엔서가 아닌 이상 블로그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네이버나 구글 등의 포털 사이트 검색 결과에 내 포스팅이 노출 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.
이를 위해 각 검색 포털 별로 내 블로그의 포스팅을 크롤링(Crawling) 해갈 수 있도록 추가 작업을 해줄 필요가 있다.
이 추가 작업 중 첫 걸음이라고 할 수 있는 사이트맵의 등록 방법에 대해 확인해 보자.
사이트맵이란?
- 사용자 혹은 크롤러가 웹사이트를 이용할 때 웹사이트의 접근 가능한 페이지의 목록
- 사이트맵은 웹사이트의 웹페이지를 계층적으로 분류한 목록으로, 해당 웹사이트를 구성하고 있는 전체 구조를 보여주며, 웹디자인을 계획하는 문서로 사용될 수도 있다.
- 이는 사이트를 사용하는 사용자나 검색엔진이 자신들이 찾고자 하는 웹페이지를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.
1. 사이트 맵 만들기
사이트맵을 만들 수 있는 툴들은 여러가지가 있다.
그 중 흔히 사용하는 온라인 툴인 XML-Sitemaps 의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자.
우선, XML-Sitemaps 사이트에 접속한다.
Click XML-Sitemaps
사용법은 매우 간단하다.
위 스크린샷에 하이라이트 되어 있는 URL 입력칸에 자신의 블로그 주소를 입력하고 START 버튼을 누르면 끝!
내 블로그를 스캔해서 자동으로 사이트맵을 작성해 주는데 시간이 좀 걸린다.
특히 글과 카테고리가 많이 누적되어 있을수록 시간이 선형적으로 늘어나므로 참고 하시길..
VIEW SITEMAP DETAILS 버튼을 클릭해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자.
DOWNLOAD YOUR XML SITEMAP FILE 버튼을 클릭해서 sitemap.xml 이라는 이름의 사이트맵 파일을 내 PC 로 다운 받는다.
이 파일은 트리 구조의 컨테이너를 이용, 데이터를 저장하는 xml 파일 구조 안에 내 블로그의 포스팅, 카테고리, 태그 등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다.
2. 블로그에 사이트맵 등록하기
이제 내 블로그를 검색결과로 노출 시킬 검색 사이트에 등록하기 위해 이 사이트맵 파일을 내 블로그 안에 심어 두어야 한다.
만약 네이버 블로그나 티스토리가 아닌 내가 직접 호스팅 해서 운영하는 사설 블로그라면 Root directory 에 업로드 해두면 되겠지만 대부분의 멤버십형 블로그 서비스는 이렇게 내부 디렉토리 구조에 접근이 불가능 하므로 비공개로 글을 쓰고 거기에 파일 첨부 형식으로 올리는 방법을 많이 쓴다.
티스토리의 경우, 최근 업데이트 된 새 버전의 에디터는 내 블로그의 주소가 아닌 CDN 방식(별도의 파일 관리 서버에 저장 후 링크만 가져오는 방식)이므로 예전 버전의 에디터로 작성 해야 한다.
우선 내 블로그 관리 메뉴로 이동한 후 스크린샷을 참고하여 콘텐츠-설정 메뉴에 있는 새로운 글쓰기를 '사용하지 않습니다' 로 바꾸고 저장해 준다.
이후 블로그에서 글쓰기를 누르면 다시 예전 방식의 에디터가 실행 되는데 어차피 비공개로 쓸 설정용 포스팅이므로 적당한 제목을 지정한 후 파일 버튼을 눌러 방금 다운받은 sitemap.xml 파일을 첨부하고 저장한다. (꼭 비공개로 쓸것!)
이 후 윗단계에서 했던 설정 메뉴의 새로운 글쓰기 선택을 다시 원래대로 사용함으로 돌려 놓아도 된다.
방금 sitemap.xml 파일이 첨부된 포스팅에 들어가 이 첨부 파일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링크 주소를 복사한 후 네이버나 구글 및 희망하는 여러 검색 사이트에 이 주소를 알려주면 된다.
검색 사이트에 사이트맵을 등록하는 방법은 별도로 포스팅 하겠습니다.
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
수익형 블로그로 가는 첫걸음 -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최적화 : 사이트맵/RSS 등록하기
수익형 블로그로 가는 첫걸음 - 구글 서치콘솔 최적화 : 사이트맵/RSS 등록하기
댓글